ON:LINE

익숙한 장소에서 탈출하기

 

성원선(미술평론가)

 

팬데믹의 시대에서 탈출은 언제쯤 가능할까? 그것이 백신이 개발되거나 아니면 세계인 모두가 면역력을 가지게 되면 나 자신을 가두었던 이 작은방을 탈출할 수 있을까?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집과 나의 공간은 과연 가장 안전한 방일까?
세상과 만나는 순간 인류는 자연 안에 나만의 집을 만든다. 우주인의 지구, 자연 안에 내 집, 무한히 광활한 우주에 흩어져 존재하는 자원의 총량들 속에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들, 내 집 안에 있는 사물들이다.

미래에 기술이 더 발전하면, 막대한 양의 물질이나 에너지를 인류가 무한대로 활용할 수 있을까? 현재라면, 영원히 쓸모없는 사물들 사이에 내 몸을 구겨 넣고, 늘 세상 밖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쓸모를 위해 생산된 물건들, 합성된 물질로 뒤덮인 공간과 어처구니없는 사물의 모양들은 누군가가 발명하고, 창조한 사물들이다. 아직도 채우지 못한 욕망과 욕구, 끝없는 세상에 열려있던 그 욕망과 욕구는 팬데믹으로 인해 내 안에 갇혔다.

누군가 이렇게 질문한다. 인류의 멸종을 생각해 봤냐고?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봤을 지구의 시나리오, 우리는 과연 이런 세상 속에 나를 지켜줄 안전한 공간을 꿈꿀 수 있을까? 플라스틱과 유기화합물로 뒤덮인 세상, 지구, 내 집 그리고 내 몸.
인류의 실존적 위험은 불시에 닥친 오늘의 문제만은 아니다. 멸종의 시나리오는 인류의 시작부터 늘 있었다. 혁신의 가치는 바로 그 멸종의 위협감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인류의 모색이었다. 그러나 이제 우리가 그 멸종될 인류가 될 것인가?

겹겹이 그리드를 겹쳐가는 이선구의 작업은 공간을 존재화한다. 사물과 물질로 그리고 색과 선으로. 누구에게나 있을 것 같은 일상과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시간은 변하지 않는 듯한 공간을 더욱 무감각하게 보이게 한다. 그것이 그림이건, 설치이건 모퉁이와 구석마저 똑같이 내려앉은 먼지를 치우고 나면, 드러나는 공간은 우주로 열려있는 무한대의 통로와 같다. 내일로 향하는 길은 닫힌 벽을 부수고, 미지의 블랙홀로 끌어드리는 일상의 ‘혁신 INNOVATION’을 요구하는지도 모른다. ‘혁신’은 늘 새로움이다. 그것은 익숙한 것을 제거하고 남은 것이며, 편하고 이로운 것 안에서 늘 불편하게 하는 것을 주목한다. 예술도 마찬가지이다. 사회 속에서 예술의 역할은 사회에서 일반적이지 않고, 불편한 것을 특이점으로 바라보게 한다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너무 익숙해진 시선, 변하지 않는 습관, 진격하지 않는 몸, 진보하지 않는 뇌만 남을 것인지?

이선구가 만든 열려있는 이 공간은 나를 통과하여 새로운 타자의 공간으로 침범하는 그리드이며, 겹겹이 쌓여 있는 시간과 행위들이 스치는 공간이며, 너와 나를 수용하는 나뉘지 않고 닫히지 않는 찰나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익숙한 장소로 일상은 어떤 의미를 우리에게 줄 수 있을까? 그리고 우리는 일상의 익숙한 평면 속 그리드를 넘어 내일의 공간으로 탈출하는 오늘의 시간을 만날 수 있을까? 아직은 뱉어내지 못한 그의 말들을 추적하며 미지의 블랙홀로 빠져들어 가는 선과 색의 이야기를 기대해본다.

 

Escaping From Familiar Places

 

Won-seon Seong (Art Critic)

 

When will we ever escape the pandemic? Will we be able to escape these small rooms where we locked ourselves up once a vaccine is developed or once everyone around the world develops immunity to the virus? Are my home and familiar spaces really as safe as I thought?

The moment that people encounter the world, they create their own home within nature. Like the earth to an astronaut, our home within nature, everything that we own among the sum of all resources scattered throughout the infinitely vast universe — these are the objects in our home.

As technology continues to advance, will humanity ever have access to an unlimited supply of matter or energy? At present, we may think that we are safe from dangers beyond our world by constantly surrounding ourselves with useless objects. These things created for a certain purpose, spaces covered in synthetic materials, and the ridiculous shapes of objects were invented and created by someone. These insatiable desires and urges, desires and urges that were previously unleashed upon an endless world, are now trapped within us due to the pandemic.

One might ask: Have you ever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humanity’s extinction? It’s a global scenario that has surely crossed everyone’s mind at some point. Can we really dream of a safe space where we can protect ourselves in such a world? A world covered in plastic and organic compounds, the earth, our home, and our body.

The real existential threat to humanity is not only the unanticipated problems that we face now. The possibility of extinction has been with us since the very beginning. The value of innovation was humanity’s attempt to escape from the threat of extinction. But are we now the generation destined to go extinct?

Seon-gu Lee’s work and its overlapping grid of layers bring a new space into existence using objects and materials, colors and lines. The everyday life familiar to everyone and regular, repetitive time make the seemingly unchanging space appear even more callous. Whether it is a drawing or installation art, once you clear away the dust which has settled in every nook and cranny, the space revealed is like an infinite passageway to the universe. Perhaps the path to tomorrow can break through the enclosed walls and demand the ‘innovation’ of daily life as it sucks us into a strange black hole. ‘Innovation’ is always new. It is what remains after getting rid of the familiar; it always draws our attention to that which makes us uncomfortable within our comfortable, familiar lives. The same goes for art. The role of art in society is to make us take notice of the uncommon, uncomfortable things within society. Will we be left with only all-too-familiar gazes, unchanging habits, non-evolving bodies, and unprogressive brains?

This open space created by Seon-gu Lee is a grid passing through ourselves and intruding on the new space of others. It is a space with numerous layers of time and gesture; a space which accepts both you and me where we can experience a moment of oneness and openness. What does daily life with its familiar places mean to us? And can we cross the grid within the familiar plane of everyday life and find time today to escape to the space of tomorrow? I look forward to the tales told by the lines and colors which draw us into a black hole of the unknown as we seek to understand his words still unspoken.